본문 바로가기
TIL/Spring

23.06.12

by J1-H00N 2023. 6. 12.

spring 프로젝트 생성 방법

intellij > new project > Spring Initializr > Language : Java, Build system: Gradle - Groovy, JDK: 17 > next > Dependencies : Spring web, Lombok

 

편의 기능 설정

1. Settings > Auto Import > Add unambiguous imports on the fly, Optimize imports on the fly

2. Settings > General > Mouse Control > Change font size > Active editor

 

Gradle이란?

빌드 자동화 시스템

빌드 > 작성한 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jar 파일로 만들어주는 것

 

!! intellij가 sdk를 찾지 못해 build를 하지 못하는 에러가 발생 > 프로젝트 재생성해서 해결

 

빌드 후 프로젝트 build > libs 에서 jar 파일 확인 가능

build.gradle : gradle 기반의 build 스크립트 > 소스 코드를 빌드하거나 라이브러리들의 의존성을 쉽게 관리 가능

> Groovy 또는 Kotlin 언어로 작성 가능

코드를 작성하다가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이 파일의 dependencies 부분에 작성하면 Gradle이 해당 라이브러리들을 Maven Repository라는 외부 저장소에서 다운로드 해옴

Maven Repository : 라이브러리들을 모아놓은 저장소

 

서버에 대해 배워보자

네트워크란?

여러 대의 컴퓨터 또는 장비가 서로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기술

 

브라우저에서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고 전달을 받는데, 이때 사용자의 요청이 서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해당 서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데, 그 정보가 바로 ip 주소이다.

그리고 해당 주소에서 정보를 전달받도록 도와주는 정보(택배로 치면 받는 사람)가 포트번호다.

 

api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보내는 요청과 서버가 전달하는 정보를 주고받게 도와주는 일종의 약속이다.

 

Apache Tomcat이란?

web server 와 web application server(WAS)

웹 서버의 역할은 정적인 html 문서와 같은 콘텐츠를 불러오거나, 동적인 요청이 들어왔을 때 이를 WAS에게 전달한다.

웹 서버가 할 수 있는 기능은 대부분 WAS도 가능하다. 즉, 웹 서버 없이도 WAS만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그래도 웹 서버와 WAS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그래서 웹서버와 WAS를 합쳐놓은 것이 Apache Tomcat이다.

 

Spring vs Spring boot

Spring 프레임워크는 AOP, IoC/DI 등과 같은 아주 강력한 핵심 기능들을 가지고 있으나 이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선 복잡한 xml 설정들을 해둬야 할 필요가 있었다.

SpringBoot는 기존의 xml 설정 대신 Java의 애너테이션 기반의 설정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무겁고 작성하기 힘들던 xml 대신에 애너테이션을 사용하여 아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라이브러리나 하위 프레임워크들의 의존성 관리가 매우 쉬워졌다.

기존에는 외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위해서 각각의 버전들의 호환성을 직접 확인해가면서 의존성들을 설정해야 했지만 SpringBoot에서는 spring-boot-starter-web 처럼 필요한 외부 라이브러리들과 프레임워크들을 의존성에 맞게 starter로 묶어서 제공해줘 각각의 버전 호환성을 직접 확인할 필요가 없어졌다.

마지막으로 Spring 프레임워크는 서버를 실행시키기 위해 Apache Tomcat을 직접 설치하고 설정하고 프로젝트에 삽입했어야 했다.

SpringBoot는 이를 자동으로 내장형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설정이나 설치없이 바로 적용할 수 있다.

 

postman : API 개발을 빠르고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플렛폼

 

Hello World! api 만들기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Rest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api/hello")
    public String hello() {
        return "Hello World!";
    }
}

SpringPrepare1Application 실행

postman > Workspace > new > http://localhost:8080/api/hello > send (Tomcat은 default로 8080포트로 실행하기 때문에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8080포트에서 실행됨)

 

HTTP란?데이터를 주고받는 양식을 정의한 "통신 규약" 중 하나

 

HTTP 구성요소method : 호출 / 요청 방식 (get, post, ...)

Header : 추가 데이터, 메타 데이터

  • 브라우저가 어떤 페이지를 원하는지
  • 요청 받은 페이지를 찾았는지
  • 요청 받은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찾았는지
  • 어떤 형식으로 데이터를 보낼지

Payload : 데이터

  • 서버가 응답할 때,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 payload를 보낼 수 있다.
  • Get 메서드를 제외하곤 모두 payload를 보낼 수 있다 => HTTP의 약속

 

테스트 코드

테스트의 필요성 : 코드를 배포하기 전 버그를 최대한 잡아내기 위해

그 방법

  1. 블랙박스 테스팅
    • 소프트웨어의 동작 원리나 로직을 모르는 상태, 즉 사용자와 같은 환경에서 동작을 검사하는 방법
    • 장점 : 누구나 가능, 개발자, 디자이너, 베타 테스터 등등
    • 단점1 : 기능이 많으면 많을수록 테스트의 범위가 증가해 테스트하는 사람의 수도 증가해야 한다.
    • 단점2 : 테스트하는 사람에 따라 테스트 퀄리티가 달라질 수 있음 -> QA 직군이 있는 이유
  2. 개발자 테스트
    • 개발자 본인이 작성한 코드를 테스트 하기 위해 테스트 코드를 작성
    • 장점1 : 빠르고 정확한 테스트 가능
    • 장점2 : 테스트 자동화 가능
    • 장점3 : 리팩토링이나 추가 기능을 구현할 때 더욱 편리해짐
    • 단점1 : 개발 시간이 오래걸림
    • 단점2 : 테스트 코드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함
    • 단점3 : 상황에 따라 리팩토링이나 추가 기능을 구현할 때 더 복잡해지는 경우도 있음

개발 할 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야 할 때가 있는데, Spring에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환경을 제공 > JUnit

JUnit :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 용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

 

테스트 예시 해보기

main폴더

package com.sparta.springprepare.calculator;

public class Calculator {
    public Double operate(double num1, String op, double num2) {
        switch (op) {
            case "*":
                return num1 * num2;
            case "/":
                if (num2 != 0) {
                    return num1 / num2;
                } else {
                    return null;
                }
            case "+":
                return num1 + num2;
            case "-":
                return num1 - num2;
            default: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잘못된 연산자입니다.");
        }
    }
}

test폴더(alt+insert > test 또는 ctrl + shift + t로 바로 생성 가능)

package com.sparta.springprepare.calculator;

import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class CalculatorTest {
    @Test
    @DisplayName("더하기 테스트")
    void test1() {
        Calculator calculator = new Calculator();
        Double result = calculator.operate(8, "+", 2);
        System.out.println("result = " + result);

        Assertions.assertEquals(10, result); //예상값(10)과 result가 일치하는지 확인
    }

    @Test
    @DisplayName("나누기 테스트")
    void test2() {
        Calculator calculator = new Calculator();
        Double result = calculator.operate(8, "/", 2);
        System.out.println("result = " + result);

        Assertions.assertEquals(4, result);
    }
}

테스트 코드는 main메서드가 없다. < JUnit이 테스트 실행 환경을 따로 가지고 있기 때문

 

Lobok : 자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거의 필수적으로 필요한 메서드/생성자 등을 자동 생성해줌으로써 코드를 절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설정하는 방법 : ctrl + alt + s(Settings) > Annotation Processors > Enable annotation processing 체크 > shift 두 번

> Installed > Lombok 설치 확인

 

사용 예시

package com.sparta.springprepare;

import lombok.*;

public class Memo {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final String contents;
}

위 코드에서 우측 Gradle > Tasks > build > build > build폴더 > Memo를 확인하면 작성하지 않은 메서드가 자동으로 추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public class Memo {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contents;

    public Memo() {
    }

    public String getUsername() {
        return this.username;
    }

    public String getContents() {
        return this.contents;
    }
}

Setter도 마찬가지로 Annotation을 추가한 뒤 다시 빌드하면 해당 빌드 파일에 Setter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Getter // lombok 내 저장되어있는 Annotation
@Setter
public class Memo {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contents;
}
public class Memo {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contents;

    public Memo() {
    }

    public String getUsername() {
        return this.username;
    }

    public String getContents() {
        return this.contents;
    }

    public void setUsername(final String username) {
        this.username = username;
    }

    public void setContents(final String contents) {
        this.contents = contents;
    }
}

이 메서드들은 눈에 보이진 않지만 실제로는 적용되는 메서드들이다.

그 외 Annotation

@AllArgsConstructor // 모든 Args를 가지고 있는 생성자
@NoArgsConstructor  // Args가 없는 생성자
@RequiredArgsConstructor// 요구되는 Args만 가지고 있는 생성자 < final필요 
// 단, final이 하나라도 있으면 NoArgsConstructor 생성불가

 

main >

application.properties : Spring과 관련된 설정을 할 때 사용되는 파일

SpringBoot를 사용하면 개발에 필요한 설정 정보들이 자동으로 설정된다고 했는데, 이 파일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설정되고 있는 설정 값을 쉽게 수정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DB 연결 시 DB의 정보를 제공해야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이 파일을 이용하여 쉽게 값을 전달할 수 있다.

Apache Tomcat을 사용하여 서버를 실행하면 기본 port 설정이 8080으로 되어있는데, 이 파일에서 server.port = 8081와 같이 설정하면 서버의 port번호를 8081로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다.

yml로도 설정할 수 있지만 spring에서 기본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므로 다루지 않는다.

 

lombok에 대해 기초적으로 다루고 난 뒤 스터디에서 이번주 개인과제가 2주차 내용을 습득한 뒤에야 완성할 수 있다는 소식을 들어 공부법에 고민해봤다. 목요일까지 강의를 빠르게 듣고 금요일에 빠르게 과제를 진행할지, 과제를 진행하며 모르는 부분만 강의를 들으면서 과제를 제출한 뒤 남은 시간 복습할지 고민했다. 매니저님과 상담 결과 2주차 숙제만 해결하면 빠르게 풀 수 있다고 하시니 강의를 빠르게 진행하고 과제를 진행하려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하루에 최소 15강의를 듣고, 수요일 안에 2주차 숙제를 어떻게 해야할지 틀은 잡아놔야 할 것이다.

 

MVC 패턴 :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 하나,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Model, View, Controller로 구분하여 각각의 역할을 분리

MVC 패턴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분리함으로써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고, 개발자들 간의 협업을 용이하게 합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MVC 패턴을 적용하여 구조를 잘 설계하는 것이 중요

 

Model

  •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합니다.
  •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View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합니다.
  • 사용자가 보는 화면과 버튼, 폼 등을 디자인하고 구현합니다.

Controller

  • Model과 View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정하고 제어합니다.
  •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Model에 전달하고, Model의 결과를 바탕으로 View를 업데이트합니다.

 

Spring에서 MVC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여 HTTP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Servlet (서블릿)은 자바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 측 프로그램 혹은 그 사양을 말한다.

Spring boot에서는 Tomcat

 

사용자가 (HTTP) API 요청했을 때 서버의 서블릿이 어떻게 동작되고 있는지 확인

  1. 사용자가 Client(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HTTP Request 즉, API 요청을 합니다.
  2. 요청을 받은 Servlet 컨테이너는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생성합니다.
    • 약속된 HTTP의 규격을 맞추면서 쉽게 HTTP에 담긴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객체입니다.
  3. 설정된 정보를 통해 어떠한 Servlet에 대한 요청인지 찾습니다.
  4. 해당 Servlet에서 service 메서드를 호출한 뒤 브라우저의 요청 Method에 따라 doGet 혹은 doPost 등의 메서드를 호출합니다.
  5. 호출한 메서드들의 결과를 그대로 반환하거나 동적 페이지를 생성한 뒤 HttpServletResponse 객체에 응답을 담아 Client(브라우저)에 반환합니다.
  6. 응답이 완료되면 생성한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소멸합니다.

 

Spring 공식 문서에는 'Spring MVC는 중앙에 있는 DispatcherServlet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공유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Front Controller 패턴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이 모델은 유연하고 다양한 워크 플로우를 지원합니다.'라고 나와있는데, 이제 여기 나오는 DispatcherServlet을 사용하는 Front Controller패턴의 동작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1. **Client(브라우저)**에서 HTTP 요청이 들어오면 DispatcherServlet 객체가 요청을 분석합니다.
  2. DispatcherServlet 객체는 분석한 데이터를 토대로 Handler mapping을 통해 Controller를 찾아 요청을 전달해 줍니다.</aside>
    • Handler mapping 에는 API path 와 Controller 메서드가 매칭되어 있습니다.
    @Rest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api/hello")
        public String hello() {
            return "Hello World!";
        }
    }
    
    • API path 즉, URL을 Controller에 작성하는 방법은 @Controller 애너테이션이 달려있는 클래스를 생성한 뒤 @GetMapping 처럼 요청한 HTTP Method 와 일치하는 애너테이션을 추가한 메서드를 구현합니다.
      • URL은 @GetMapping("/api/hello") 이처럼 해당 애너테이션의 속성값으로 전달해주면 됩니다.
      • 해당 메서드명은 URL을 매핑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 자유롭게 정해도 상관 없습니다.
    • 이제는 직접 Servlet을 구현하지 않아도 DispatcherServlet에 의해 간편하게 HTTP 요청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ControllerDispathcerServlet
    • 해당 Controller는 요청에 대한 처리를 완료 후 처리에 대한 결과 즉, 데이터('Model')와 'View' 정보를 전달합니다.
  4. DispatcherServletClient
    • ViewResolver 통해 View에 Model을 적용하여 View를 Client에게 응답으로 전달합니다.

 

https://www.notion.so/7dcac37f081d4f9da0fc7b3ba8d9c510?v=ff5aa728d1c64c4faca21467eb741632&pvs=4 

 

회원 관리 API

A new tool for teams & individuals that blends everyday work apps into one.

www.notion.so

위와 같은 api가 있다고 했을 때, 우리는 아래와 같이 겨우 4개의 api를 처리하기 위해 3개의 클래스를 만들어야 한다.

@WebServlet(urlPatterns = "/user/login")
public class UserLoginServlet extends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 ... 
	}
}
@WebServlet(urlPatterns = "/user/logout")
public class UserLogoutServlet extends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 ... 
	}
}
@WebServlet(urlPatterns = "/user/signup")
public class UserSingUpServlet extends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 ... 
	}

	@Override
  protected void doPos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 ... 
	}

}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Spring MVC의 Front Controller 패턴을 사용한다.

  • 이제는 API 마다 파일을 만들 필요 없습니다.
    • 보통 하나의 Contoller 에 모든 API를 넣지는 않습니다.
    • 유사한 성격의 API 를 하나의 Controller 로 관리합니다.
  • 메서드 이름도 내 마음대로 설정 가능합니다. (단, 클래스 내의 중복메서드명 불가)
@Controller
@RequestMapping("/user")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GetMapping("/login")
	public String login() {
	    // ...
	}

	@GetMapping("/logout")
	public String logout() {
    	// ...
	}

	@GetMapping("/signup")
	public String signup() { 
		// ... 
	}
	
	@PostMapping("/signup")
	public String registerUser(SignupRequestDto requestDto) {
		// ... 
	}
}

@Controller는 해당 클래스가 Controll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등록해줄 수 있다.

 

경로(/signup)는 중복이 될 수 있으나 메서드(@GetMapping)도 중복이 되면 안된다.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

@Controller
@RequestMapping("/api") // 중복되는 경로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
    @ResponseBody // resources에서 Hello World라는 html을 찾아 그 view를 반환하지 않고 순수하게 문자열만 반환하게 만들기
    public String hello() {
        return "Hello World!!";
    }

    @GetMapping("/get")
    @ResponseBody
    public String get() {
        return "Get method 요청";
    }

    @PostMapping("/post")
    @ResponseBody
    public String post() {
        return "Post method 요청";
    }

    @PutMapping("/put")
    @ResponseBody
    public String put() {
        return "Put method 요청";
    }

    @DeleteMapping("/delete")
    @ResponseBody
    public String delete() {
        return "Delete method 요청";
    }
}

 

resources 폴더 > static 폴더에 hello.html이란 파일을 만들고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Controller
public class HtmlController {
    @GetMapping("/static-hello")
    public String hello() {
        return "hello.html";
    }
}

위 코드를 실행한다.

hello.html에는 http://localhost:8080/static-hello가 아닌 http://localhost:8080/hello.html로 접근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static 파일은 정적 페이지이기 때문에 굳이 Controller를 거쳐서 호출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직접 불러와야 하는 것이다.

 

물론 Controller을 통해 static 파일을 불러올 수 있긴 하다.

thymeleaf가 동적인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라이브러리인데, 이를 사용하면 Spring boot가 자동적으로 Controller를 통해 html을 찾을 때 templates에서 찾는다. 이 설정을 바꾸기 위해 build.gardle에서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을 주석처리 해주면 된다.

@GetMapping("/html/redirect")
    public String htmlStatic() {
        return "redirect:/hello.html";
    }

이와 같이 redirect 되도록 유도해서 hello.html을 다시 지정해주는 방법도 있다. 이러면 url이 http://localhost:8080/html/redirect가 아닌 http://localhost:8080/hello.html가 호출된다.

 

templates에 hello.html을 만든 뒤 templates 폴더에서 html을 호출할 때는 .html을 생략해도 된다.

    @GetMapping("/html/templates")
    public String htmlTemplates() {
        return "hello";
    }

 

동적 html 호출

@GetMapping("/html/dynamic")
    public String htmlDynamic(Model model) { // Controller에서 Model로 처리
        visitCount++; // 요청할 때마다 +1
        model.addAttribute("visits", visitCount); // visits라는 장소에 visitCount를 넣어준다. // Template engine 에게 전달할 Model(View에 적용할 정보들)
        return "hello-visit"; // Template engine 에게 전달할 View(동적 Html)
    }
<!DOCTYPE html>
<html>
<head><meta charset="UTF-8"><title>Hello Spring</title></head>
<body>
<div>
  Hello, Spring 동적 웹 페이지!!
</div>
<div>
  (방문자 수: <span th:text="${visits}"></span>)
</div>
</body>
</html>

 

 

Json

근래는 서버가 html을 전부 불러오는 것이 아닌 필요한 데이터만 불러와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느슨하게 결합하는 추세다. 

앞서 말했던 것처럼 Controller에서 문자열을 반환하면 html파일을 찾아 반환하기 때문에 json을 반환하기 위해서는 @ResponseBody 애너테이션을 추가해줘야한다.

json 데이터를 반환하는 방법

  • String 반환
// Content-Type : text/html
@GetMapping("/json/string")
@ResponseBody
public String helloStringJson() {
    return "{\"name\":\"Robbie\",\"age\":95}";
}

내부 문자열을 json형태로 만들어 반환한다.

  • Java 클래스를 만들어 객체를 생성해 반환
import lombok.Getter;

@Getter
public class Star {
    String name;
    int age;

    public Star(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ublic Star() {}
}
//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GetMapping("/json/class")
    @ResponseBody
    public Star helloClassJson() {
        return new Star("Robbie", 95);
    }

여기서 Content-Type이 json인 이유는 Client코드는 자바스크립트고 Star는 Java의 객체이기 때문에 Spring이 자동으로 json으로 변환시켜주기 때문이다.

 

@ResponseBody 와 @Controller를 합칠 수도 있다.

package com.sparta.springmvc.respons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response/rest")
public class ResponseRestController {
    // [Response header]
    //   Content-Type: text/html
    // [Response body]
    //   {"name":"Robbie","age":95}
    @GetMapping("/json/string")
    public String helloStringJson() {
        return "{\"name\":\"Robbie\",\"age\":95}";
    }

    // [Response header]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Response body]
    //   {"name":"Robbie","age":95}
    @GetMapping("/json/class")
    public Star helloClassJson() {
        return new Star("Robbie", 95);
    }
}

 

 

Jackson : json 구조의 데이터를 처리해주는 라이브러리

Object(자바 객체)를 json 형태의 String으로 변환해주고, 그 반대도 해준다.

직렬화 : 자바 객체를 json 형태로 만들어주는 것

@Test
    @DisplayName("Object To JSON : get Method 필요") // Star에서 @Getter를 지우면 오류 발생
    void test1() throws JsonProcessingException {
        Star star = new Star("Robbie", 95);

        ObjectMapper objectMapper = new ObjectMapper(); // Jackson 라이브러리의 ObjectMapper
        String json = 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star); // json으로 변환시킬 매개변수 필요

        System.out.println("json = " + json);
    }

역직렬화 : json형태의 데이터를 자바 객체로 만들어주는 것

@Test
    @DisplayName("JSON To Object : 기본 생성자 & (get OR set) Method 필요")
    void test2() throws JsonProcessingException {
        String json = "{\"name\":\"Robbie\",\"age\":95}"; // JSON 타입의 String
        // Star 필드에 있는 변수명과 key값을 일치시켜야 한다.

        ObjectMapper objectMapper = new ObjectMapper(); // Jackson 라이브러리의 ObjectMapper

        Star star = objectMapper.readValue(json, Star.class); // json 형태의 데이터를 어떤 클래스의 객체로 만들지 
        System.out.println("star.getName() = " + star.getName());
        System.out.println("star.getAge() = " + star.getAge());
    }

 

오늘은 15강까지 들으려 했으나 아침에 발제도 있었고 해서 13강까지 밖에 못 들었다. 내일도 상담 1시간이 있어 15강을 들을 수 있을진 모르겠으나 최선을 다해 수요일까진 2주차 숙제의 틀을 짜는 걸 목표로 한다.

'TIL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6.20  (0) 2023.06.20
23.06.19  (0) 2023.06.19
23.06.15  (0) 2023.06.15
23.06.14  (0) 2023.06.14
23.06.13  (0) 2023.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