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3 24.11.28 앱 개발을 공부하며 만들고 싶은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기본적인 개요와 erd 정도만 작성하고 있었다. 그런데 업무가 qa 관련이다 보니 erd를 작성하면서도 qa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었는데, 과연 qa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고민해 봤다. 가장 먼저 생각난 것은 단순 기능 테스트다. 개발 뒤 여러 기능들을 테스트 해보고, 배포하고 다시 테스트하고. 하지만 당장 구상하고 있는 앱이 복잡한 기능들을 여럿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니 이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 중요한 것은 다음이다. 사용자 피드백에 대한 대처. 에러라든가 추가 기능은 미리 대비할 수 있는게 아니다.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하고 나서 피드백을 받을 예정이기 때문에. 하지만 내가 직접 경험한 qa 대상 중에는 기능적인 사항에.. 2024. 11. 28. 2024.11.04 현재 진행하는 업무 중 비상용 앱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있었다. 현재 작업환경에서 상용 앱에서 테스트할 때와 비상용 앱에서 테스트할 때 resource id가 달라 아주 약간의 차이가 있어(ex. 상용:~~~:id/~~, 비상용:~~~.abc:id/~~) 비상용 앱에서 정상 작동했던 스크립트를 상용 앱에서 테스트할 때 이 resource id들을 수정해야 해서 약간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처음에는 비상용 앱 id에 있는 값을 검색해 제거했었는데, 이후 빼먹거나 비상용을 위해 만들어둔 테스트용 코드까지 건드릴 수 있는 위험이 있어 주석으로 제거해야될 코드만 표시하는 작업 형식으로 변경했다. 그러나 이 방법또한 주석을 검색한 뒤 해당 코드 아래 있는 코드들만 일일이 수정해줘야 했기에 .. 2024. 11. 4. Activity 안드로이드 4대 구성요소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아래 4 종류의 독립적인 다양한 실행 단위를 하나로 묶어 관리한다.Activity : 현재 화면을 관리하는 실행요소Service : 화면을 가지지 않는 실행 단위, := 백그라운드Broadcast Receiver : 특정 사건이 발생하면 실행되는 실행 단위Content Provider : 데이터 공유를 위한 실행 단위 Intent안드로이드 4대 구성 요소들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intent라는 객체가 필요하다.intent는 실행하고자 하는 4대 구성 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다.개발자가는 실행하고자 하는 4대 구성 요소의 정보를 intent에 담고 이를 안드로이드 OS에게 전달하면 안드로이드 OS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가 실행된다.. 2024. 4. 24. Menu Option Menu 안드로이드 화면 하나당 하나씩 가질 수 있는 메뉴를 의미하며, 현재 보이는 화면(Activity)의 메인 메뉴가 된다. onCreateOptionsMenu 화면을 관리하는 객체인 Activity 객체가 만들어 질 때 자동으로 호출되는 메서드이며 여기에서 메뉴를 생성하게 된다. 메서드가 true를 반환하면 메뉴가 나타난다. OnOptionsItemSelected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했을 때 자동으로 호출되는 메서드이다. res > New > Android Resource File > Resource type : Menu 를 통해 xml 파일로 만드는 방법(직관적)과 onCreateOptionsMenu에서 menu.add(Menu.NONE, Menu.FIRST...), menu.addS.. 2024. 4. 9. 이전 1 2 3 4 ··· 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