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3

23.08.16 S.A를 작성하면서 알아둬야할 사항들이 몇 생겼다. 1. STOMP, SMTP, Redis - 이메일 인증을 위한 얘기를 나눌 때 나온 사항 2. queryDSL - 카드 라벨로 필터링을 하기 위한 기능에 필요할지도 모른다고 함 3. PATCH - PUT과 유사한 메서드로, 일부 수정을 위한 기능을 구현할 때 사용하기로 함 4. Git PR과 Merge 관련된 규칙들에 대해 알아두자 5. Swagger @Tag 와 @Operation 어노테이션 6. log.error() - log.info는 개발 과정 중에만 사용하고 결과물에는 남겨주지 않고, 에러에 대해서만 log.error을 남겨둔다. 7. 테스트 코드 작성 8. 애자일 방법론 9. @Builder 2023. 8. 16.
NoSQL과 RDBMS의 특징과 차이점(장, 단점)에 대해서 NoSQL Not only SQL의 약자이며,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유형을 가리킨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는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언어마다 관습화된 API, 선언적 구조의 쿼리 언어, 쿼리별 언어를 사용하여 질의할 수 있다.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빠르게 적응하고 개발 패러다임에 자연스럽게 활용되는 이점 때문에 실시간 웹 애플리케이션 및 빅 데이터에 널리 사용된다고 한다. 데이터가 보다 직관적이고 쉬운 방식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방식에 가깝게 저장된다. 따라서 저장 또는 검색시 데이터 변환의 필요성이 줄어든다. 또한 다운타임이 없는 클라우드의 이점을 온전히 누릴 수 있다. 사전에 스키마를 정의하지 않아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작업을 진행하는 동시에 데이터를 정의하는 방식으로 빠.. 2023. 8. 16.
23.08.14 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요구사항, 트러블 슈팅, 데이터베이스 연관관계 등 문서화에 집중 조금 더 구체적인 기술 기술 스택을 사용한 이유를 설명하기 GraphQL을 사용하면 Rest API 엔트포인트명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기능의 세심한 부분 신경쓰기(비활성화된 유저가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삭제되도록) 기능의 구현에서 성능에 악영향이 있을지 생각해보기 자신의 기술스택을 소개할 때 버전도 적기 2023. 8. 14.
23.08.11 오늘 에러코드 생성부터 적용, 자잘한 에러까지 고친 후 프로젝트가 사실 상 마무리 됐다. 남은 시간은 JPA에 대해 더 알아볼 생각이다. 후발대 마지막 강의 백엔드 개발자가 되는 법 소프트 스킬(마음가짐) 문제 해결 능력 트러블 슈팅 능력 책임감 진실함 학습력 - 학습 의지, 학습 지속력 겸손함 하드 스킬(실질적 개발 능력) 자바와 스프링 stack overflow, velog, ChatGPT 알고리즘, 자료구조 자료 개인화 능력 도식화 2023. 8. 11.